<이하 글은 정의당 김종대의원 페이스북 내용입니다>
돼지 흥분제에 취했나?
5차 6자회담과 10·4 남북 공동선언으로 역사의 물줄기가 굽이치던 2007년 11월. 이 시점은 깊은 어둠 속에서 가장 찬란한 빛이 탄생하던 순간이었습니다.
▲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 저서 빙하는 움직인다 © 폭로닷컴/신안신문편집국 |
|
미국의 돌연한 북한 금융제재로 2005년 9·19 공동선언의 효과가 하루 만에 증발되고, 이후 2006년 10월의 북한 1차 핵실험이 이어지는 기나 긴 어둠의 터널은 노무현 정부에게 시련과 좌절의 시간이었습니다.
11월에 청와대 회의에서 논란이 된 유엔의 북한 인권결의안은 사실 그 자체로 대단한 의제는 아니었습니다. 송민순 전 외교부장관의 말대로 찬성표를 던진다 한들 남북 관계개선의 성과는 무너지는 것은 아니었을 겁니다.
또한 유엔 결의안에 기권하는 걸 굳이 찬성으로 돌려 세울 만큼 절박한 의제도 아니었습니다. 결의안 하나로 북한 인권이 개선된다면 얼마든지 해야지요.
그런데 매년 상정되는 결의안이고, 오늘 당장 기권한다고 해도 내년에 찬성할 수도 있습니다. 결의안으로 ...북한 인권 개선이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논란만 증폭될 수 있다면 돌아가야지요.
그런데 이게 마치 죽고 사는 문제인 것처럼 송민순 장관이 이미 11월 16일에 기권으로 결정된 걸 번복하려 소동을 일으킨 데서 문제가 시작되었습니다.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가 절박한 시기에 송 장관은 북한 인권 결의안에 목숨을 걸었던 것 같습니다.
송 장관 회고록 주장이 다 옳다고 해도 개인의 생각일 뿐입니다. 격론이 오고 간 11월 18일에 열린 청와대 회의에서 하도 송 장관이 “북한은 찬성표 던져도 반발 안 한다”고 주장을 하니까 참석자들이 어이가 없었던 겁니다.
▲ 정의당 김종대의원(비례.66년생) © 폭로닷컴/신안신문편집국 |
|
북한이 가장 반발하는 사안을 “반발하지 않으니 마음 놓고 찬성표 던지자”는 이 주장. “국정원을 통해 북한 입장을 확인해 보자”는 말은 송 장관 주장의 진위를 확인해보자는 취지였습니다.
그걸 지금 자유한국당은 “북한에 물어보자”로 둔갑시킨 것이구요. 더 나아가 북한에 표결 기권을 “결재 받았다”는 겁니다. 설령 물어보았다고 해도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뻔히 아는 북한 입장을 재확인 한 것에 지나지 않으니까요.
그런데 자유한국당은 이걸 ‘내통’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수도 없이 남북 간에 전통문이 오고 가던 시절에 남북 간의 대화를 내통이라고 한다면, 도대체 외교에서 내통이 아닌 것이 무엇입니까? 아예 입에 거품을 무는군요.10년 전 유엔 결의안 하나에 목숨을 거는군요.
그래서 11월 18일의 회의록을 공개하자고 하면 또 이번엔 말이 없습니다.
대선 후보 방송토론에서 “회의록에 그 내용이 다 있다”고 하던 홍준표 후보는 왜 회의록 공개하자는 말이 없을까요? 당연하지요.
지난 대선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 당시 “북방한계선(NLL) 포기발언을 했다”고 주장하던 당 아닙니까? 그래서 대화록 공개했는데 포기 발언 없지 않습니까? 그러니 이번에도 회의록 공개하자는 말을 못하는 거구요.
한 번 홍준표 후보가 돼지 흥분제에 취한 행태를 보이니 나머지 후보들도 따라가는 군요.
홍 후보야 자서전에 차마 입에 담기 어려운 저질 범죄 행태를 자랑하신 분 아닙니까?
자서전을 보면 홍 후보는 국민을 개·돼지 취급하는 게 아닙니다. 본인을 개·돼지 취급하는 겁니다. 스스로의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인정하지 않으시는 분입니다.
부끄러움이나 수치심 따위는 이미 집어 던지신 분. 계속해 보십시오. 어떻게 망신살이 뻗칠 지는 곧 드러납니다.
<한편 송민순 전 장관은 최근 회고록 '방하는 움직인다'를 통해 2007년 11월 18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 주재 하에 열린 회의에서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찬성하자는 자신과 기권하자는 다른 참석자간 논쟁이 있었다고 주장함에 따라 대선후보간 격론이 오가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의원은 24일 SBS라디오 '박진호의 시사 전망대'에 출연해 최근 불거진 유엔 북한 인권 결의안 표결 참여와 관련해 "기권 방침이 선 것은 2007년 11월 16일이고, 북한에 전통문이 갔다 온 것을 송 장관이 본 것은 11월 20일으로 사실 결정은 이미 기권으로 서 있었다"고 주장했다.-편집자주>